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인 국악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수많은 가객들이 노래를 전해왔지만 기생들 또한 그 전수자 역할을 톡톡히 했었습니다. 문란한 것이 기생이라 여기기 쉽지만 기생은 팔방미인으로 양반만큼 그림이나 음악과 춤 등의 예술에 달인들이었습니다.
국악
국악은 대한민국의 전통 음악으로,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예술 형태입니다. 국악은 궁중음악, 농악, 사물놀이 등 다양한 양식을 포함하며, 오랜 역사 속에서 형성되어 왔습니다. 이는 국민들의 정체성과 아이덴티티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화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기생의 개념과 역할
조선 후기에 이르러 기생 또한 일패, 이패, 삼패 등으로 나눠서 구분이 되었습니다. 일패는 궁에서 일하거나 관기를 총칭하며 격이 높아 예의범절에 밝고 대개 남편이 있는 유부기로서 몸을 파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겼으며 전통가무의 보존자로서 정악을 익힌 예술인들이었습니다. 이패기생은 밀매음녀에 가까워 관기와 민기로 나눠지며 관기는 문무백관을 상대하고 민기는 일반 양반을 상대했으며 노래와 춤을 췄습니다. 대놓고 몸을 팔지는 않았지만 음지에서 매춘을 했습니다. 삼패기생은 잡가를 부르고 일반 평민을 상대하며 노래와 춤 몸을 파는 매춘을 병행했다고 알려집니다. 하지만 기생이 매춘을 하는 창녀의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었고 매음을 하는 이들은 따로 있었습니다. 사당패도 공연을 하며 매춘을 하였고 들병이나 화랑유녀 작부 등이 몸을 팔아먹고 살았습니다. 정악과 고급기술을 전수받아 예술인에 가까웠던 일패와 달리 삼패는 접객을 하며 잡가를 부르고 돈을 벌기 위해 몸을 팔기도 하는 낮은 기생으로 구분됩니다. 이 모든 것은 경제력이 없던 탓으로 그 누구도 삼패기생이 되고 싶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 대중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것은 삼패기생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근대에 이르자 이러한 삼패기생들이 활약하게 되고 공연문화가 활성화되었으며 노골적인 공창을 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점차 일패, 이패, 삼패의 구분이 사라지고 우리나라 여성음악의 토대를 기생 중심으로 이루게 됩니다. 소리교습소인 '권번'이 문을 열고 수많은 여성 명창이 배출되어 1930년대까지 수많은 일류명창들이 맹활약합니다.
대중화와 현대적 변화
기생 제도는 시대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며 국악과의 관계도 변화했습니다. 시조, 가곡 등에 비해 잡가는 일제가 보급한 서양음악에 밀려나 점차 사라져갑니다. 시대적인 변화의 흐름은 권번으로 명맥을 이어가던 여류 소리꾼들도 대중음악가로 활동할 수밖에 없었으며 1930년대 말에는 일제의 수탈하에 명맥을 잇기조차 힘들어졌습니다. 하지만 기생들이 전통예술을 보존하도록 한 자생공간으로서의 권번의 역할은 상당했으며 공기관이 서양과 일본문화를 교육하던 시기에 사교육기관인 권번에서는 전통문화에 대한 교과목을 철저하게 가르치며 전통잇기에 힘썼던 공로가 인정된다고 합니다.
권번과 기생으로 본 식민지 근대성 저자 황미연 국악인 저서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
나무위키 참조
'깨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패커에 나온 경북북부교도소, 구 청송교도소 스토리 (0) | 2023.08.23 |
---|---|
도베르만 핀셔 분양과 키우기 성격과 가격 단점 (0) | 2023.08.21 |
사람과 점, 점성술, 타로, 사주팔자에 관한 이야기 (0) | 2023.08.12 |
아일랜드 셀틱 음악과 악기, 영국과의 관계 (0) | 2023.08.04 |
꾸준히 한다면 어떻게 될지 모른다, 만화 킹덤처럼 (0) | 2023.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