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즈 CIWS라고 들어 보셨습니까? 배틀쉽 영화 보신 분은 외계함선에서 발사체들이 날아올 때 미군의 전투함에서 미친 듯이 불을 뿜으며 돌아가던 기관포를 보신 기억이 나십니까? 함대함 전투에서 미사일과 미사일이 주력무기이겠지만 미쳐 막아 내지 못한 적군의 미사일이나 비행기를 마지막에 막어하는 시스템이 CIWS입니다. 우리나라는 3종류 정도의 근접방어무기체계를 운용 중입니다.
네덜란드의 골키퍼
A10 탱크킬러 썬더폴트의 30미리와 같은 캐틀링 포를 장착한 방어 시스템입니다. 해군의 인천급 미사일 호위함과 강화급 미사일 구축함에 장착이 되어 있는 장비입니다. 마하 2로 접근하는 대함미사일을 자동 탐지 요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탐지와 요격 간 5.5초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우리나라 외에도 네덜란드는 물론 영국, 칠레, 포르투갈 등의 유럽국가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종이 되었기 때문에 창정비가 가능한 우리나라는 자체 개발 중에 있습니다.
미국 레이시온의 팰렁스
미국 레이시온사의 팰렁스는 1959년 실전 배치된 장비입니다. 20미리 구경의 기관포에 첨단 레이더가 부착된 시스템이지만 실전에서 오류를 일으킨 예도 있습니다. 걸프전 당시 이라크의 실크윔 미사일이 함선으로 날아올 때 미주리호에서 채프를 발사해 이를 막으려고 했고, 미주리호에 인접해 있던 함선 USS자렛 함의 팰렁스가 채프를 감지하고 발사하는 오발 사건이 있었습니다. 미주리호에 4발의 탄환이 적중했고 이 와중에 영국 구축함에서 시다트 미사일을 발사해서 실크윔을 요격해서 사태를 종료시켰습니다. 일본해상자위대의 무용담은 더 어마어마 한데 미군의 A-6인트루더 공격기를 감지한 일본해상자위대의 펠렁스가 정확하게 명중시켜 격추시킨 사건입니다. 아사기리급 구축함인 요기리호의 팰렁스였는데 목표물은 놔두고 동맹국의 전투기를 조준 격추 시킨 것입니다만 다행히 2명의 조종사는 탈출해서 무사했습니다. 우리나라 해군의 경인급 미사일 구축함과 참수리급 기동전함 등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LIG넥스원의 CIWS2
앞으로 건조될 함선에 장착될 근접방어체계는 항공기와 초음속 미사일에 대한 방어는 물론이고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드론의 위협, 그리고 북한의 침투 고속정과 소형 함선에 대한 방어능력까지 갖춘 장비로 운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창정비 기술을 이전받은 LIG넥스원 외에 한화시스템도 경쟁사로 시제기 생산기회를 얻었습니다만 결국 LIG넥스원이 선정되었습니다.
'깨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포 없이 꽃배달, 고객응대와 컴플레임도 본사가! (0) | 2023.04.25 |
---|---|
흑연의 용도와 그래핀, 그래핀관련주 (0) | 2023.04.24 |
유대인 학살에 버금가는 인류의 학살역사, 문명의 충돌 (0) | 2023.04.21 |
유튜브의 미래와 유튜브 주식투자 (0) | 2023.04.20 |
하수영 나이 얼마나 되었나요? 새노래 앨범 좋네요. (0) | 2023.04.18 |
댓글